작가 약력
노경화
1964년생, 파리에 살며 작업
e-mail: noh.kyunghwa2@gmail.com
http://nohkyunghwa.online.fr
파리 주소
29, rue Marcel Duchamp.
75013 Paris. France
Tel : +33 (0)1 44 24 26 89
학력 & 경력
-전, 프랑스 핸느 에꼴 데 보자르 객원교수
-Post Diploma / 국립 핸느 에꼴 데 보자르 졸업, 프랑스
-M.F.A / 국립 파리 VIII 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졸업, 프랑스
-B.F.A / 국립 핸느 II 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졸업, 프랑스
Links
Song Art Gallery, Seoul
Granville Gallery, Paris
개인전 선별
2014
-진동하는 오브제, 그랑빌 갤러리, 파리
-La mise en espace, 송 아트 갤러리, 서울
2012
-갤러리 89, 파리
2011
-스팩트럼 갤러리, 오사카, 일본
-송 아트 갤러리, 서울
-알펜시아 컨밴션센터, 평창
2010
-불꽃 놀이 시리즈, 갤러리 89, 파리, 프랑스
-고통 시리즈, 미즈 갤러리, 서울
2009
-악의 꽃 시리즈, 하얏트 갤러리, 오사카, 일본
-KCAF, 서울 예술의 전당, 서울
-시간의 밖, 갤러리 아트다, 서울
-나리 아트센터, 김포
2008
-노경화 미디어 아트, 미즈 갤러리, 서울
-병 안의 시간, 갤러리 89, 파리
-꿈과 탄생, 나리 아트센터, 김포
2007
-<잃어버린 시간>, 나리 아트센터, 김포
2006
-<노경화 미디어 아트>, 미즈 갤러리, 서울
2005
-<지옥의 문>, 국립 파리 VIII 대학교, 프랑스
2003
-<노경화 미디어 아트>, 갤러리 끌로트르, 프랑스
-<악의 꽃>, 국립 핸느 II 대학교, 프랑스
2002
-<침묵의 목소리>, 뀌눌루 갤러리, 프랑스
-<고통>, 갤러리 끌로트르, 프랑스
그룹전 선별
2015
-<샌디에고 아트페어>, 스팩트럼 갤러리, 캘리포니아, 미국
-<14회, KIAF-한국 국제 아트 페어>, 코엑스, 서울
-<g-seoul 국제 아트페어>,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
-<33회, 화랑미술제>, 코엑스, 서울
-CH ent 갤러리, 서울
-송 아트 갤러리, 서울
2014
-<김환기를 기리다 2>, 환기 미술관, 서울
-<ART-Chemistry>, 이치로 츠루다 갤러리, 교또, 일본
-<13회, KIAF-한국 국제 아트 페어>, 송 아트 갤러리, 코엑스, 서울
- 송 아트 갤러리, 서울
2013
-<12회, KIAF-한국 국제 아트 페어>, 송 아트 갤러리, 코엑스, 서울
-<13회, 산타페 아트페어>, 산타페 컨벤션센터, 뉴멕시코주, 미국
-<김환기를 기리다 1>, 환기 미술관, 서울
-<The next moment>, 송 아트 갤러리, 서울
-갤러리 89, 파리
2012
-<Donation & art>, CGV 압구정, 서울
-<11회, KIAF-한국 국제 아트 페어>, 송 아트 갤러리, 코엑스, 서울
-갤러리 89, 파리
-<진동하는 오브제>, 송 아트 갤러리, 서울
-<Smart Media Art>, 국민대학교 예술관, 아트 갤러리, 서울
-<30회, 화랑미술제>, 송 아트 갤러리, 코엑스, 서울
- 미즈 갤러리, 서울
2011
-<샌디에고 아트페어>, 스팩트럼 갤러리, 캘리포니아, 미국
-<10회, KIAF-한국 국제 아트 페어>, 송아트 갤러리, 코엑스, 서울
-<변화, 변화, 변화>, 메이크 샵 아트스페이스, 파주
-화이트 갤러리, 부산
-알펜시아 국제 인터콘티낸탈 호텔, 평창
-갤러리 89, 파리
-<Playing Book>, 국립 중앙도서관, 디지털 도서관, 서울
2010
-<고통>, 아바뚜아 현대 미술관, 뚤르즈, 프랑스
-<샌디에고 아트페어>, 캘리포니아, 미국
-<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>, 환기 미술관, 서울
-<서울 포토 2010>, 코엑스 B홀, 서울
-<현대 예술의 순간>, 송 아트 갤러리, 서울
-<6회, 파인 아트 아시아-국제 파인 아트 페어>, 홍콩
-<대구 국제 아트페어>, 대구
-<해피>, 프리마 호텔 미술관, 서울
-<5회, 서울 오픈 아트페어>, 코엑스, 서울
-<*.do>, 서울 산업 대학교, 서울
2009
-<디지털 브러쉬>, 힐 스테이트 갤러리, 서울
-<Gap and Porosity>, 아바뚜아 현대 미술관, 뚤르즈, 프랑스
-<4회, 서울 오픈 아트페어>, 코엑스, 서울
-<메타 -데이타>, 한국 영상학회. 구로 아트밸리, 서울
2008
-<푸른빛의 울림>, 환기 미술관, 서울
-<애니메이션 – 모션 & 이모션>, 갤러리 바롬, 서울
-<커러풀 컨버전스>, 경북 대학교 미술관, 대구
-<3회, 서울 오픈 아트페어>, 코엑스, 서울
2007
-<컨템포러리 아트>, 인사 아트센터, 서울
2005
-<8회, 트라베르세 비디오-The Metaphor>, 뚤르즈, 프랑스
2000
-사랑 미술관, 양평
1997
-캠브리지 갤러리, 뉴욕
-오니바 갤러리, 파리
-선 갤러리, 로스앤젤레스
1990
-관훈 미술관, 서울
프로젝트 DVD- rom 리스트
2013
-<막셀 뒤샹을 위하여>
-<샘>20초, 싱글채널, 640x480 pixel
-<미완성의 시> 38초, 싱글 채널, 640x480 pixel
2012
-<순간에 머물다> 3분 19초, 싱글 채널, 720x576 pixel. avi
2011
-<병 안의 시간II > 3분 9초. 싱글 채널, 576x1024 pixel. exe & swf
2010
-<디지털 노마드> 설치 인터랙티브. exe & swf. 2048x768 pixel
-<불꽃놀이II > 설치 인터랙티브, exe & swf.
-<불꽃놀이I> 2분 27초. 싱글 채널, 1920x1080 piexl. m2v
2008
-<푸른 물방울> 2분 14초. 싱글 채널
-<꿈> 4분 32초, 싱글 채널
2007
-<탄생> 1분 40초, 싱글 채널
-<병 안의 시간I> 2분25초, 싱글 채널
-<같은 시간에> 21초, 싱글 채널
2005
-<국경 없는> 인터랙티브
2004
-<오고 가다> 싱글 채널
-<오! 괴로워라> 인터랙티브
-<잃어버린 시간> 인터랙티브
-<지옥의 문> 인터랙티브
2003
-<창가 앞에서> 설치 인터랙티브
프로젝트 CD- rom 리스트
2003
-<적들> 설치 인터랙티브
-<나는 어디로 갈지 모를 것이다> 설치 인터랙티브
-<악의 꽃> 설치 인터랙티브
-<시간의 밖> 설치 인터랙티브
2002
-<침묵의 목소리> 설치 인터랙티브
2001
-<고통> 설치 인터랙티브
인터뷰기사, 칼럼 / TV, 신문, 라디오, 잡지 (선별)
TV
-SbS: 정보매거진, 박동주 PD, 1995년 1월
-CBS: 기독교 방송, 사랑이 있는 곳에 AM837, 1995년 1월 19일
-EBS: 문화, 1995년 2월 9일
-동아 방송: 이진아 방송작가, 1995년 2월 25일
-MBC: 보도국, 뉴스 투데이, 김상진 기자, 1995년 7월 17일
-KBS 2: 아침을 달린다, 1995년 7월 26일
-SbS: 문화, 1996년 1월 13일
-MBC: 문화, 1996년 2월 1일
-YTN 연합 TV news: 추승호 기자, 1996년 2월 21일
-SbS: 일요 모닝 와이드, 방송인, 김윤희, 1996년 3월 3일
-SbS: 시사 교양국, 1996년 3월
-KBS 2: 아침을 달린다, 김병찬 아나운서, 궁선영, 1996년 3월 18일
-MBC: 문화, 최재혁 MC, 1996년 5월 27일-31일 까지
-CBS: 기독교 방송, 오숙희 정보시대, 리포터 김연, 1996년 8월 30일
-TV MBN CH 20: 매일 경제, 박민희 방송작가, 1996년 9월 2일
-PBC TV: 평화방송, 빈선화 작가, 1996년 9월 7일
-KBS 1:소비자시대, 송시현 MC, 1996년 9월 19일
-MBC: 교양 정보, 조현주 방송작가, 1996년 11월 18일
-MBC: 정보 뱅크, 강지영 아나운서, 1997년 3월 5일
-CBS: 기독교 방송, 12시 데이트, 정경아 리포터, 1998년 2월 14일
-MBC: 화제집중, 1998년 2월 25일
-WOW: TV 한국경제신문, 2007년 7월 11일
-CJ Hello Vison: 송지현 PD, 2009년 7월 1일
-MBC: 뉴스 투데이, 윤효정 아나운서, 2011년 1월 22일
-Aqnb영국 국제신문& 방송: 에밀리 럭 킨 기자, 2012년 11월 5일
신문 기사
-한겨레: 김미경 기자, P11. 1995년 1월 12일
-한겨레: 김미경 기자, 1995년 12월 27일
-국민일보: 김혜리 기자, 1996년 2월 1일
-경향신문: 기획 취재부 서광원 기자, 1996년 2월 7일
-동아일보: 오윤섭 기자, P11. 1998년 2월 23일
-경기일보: 허행윤 기자, P15. 2006년 4월 6일
-경기일보: 김형표 기자, P19. 2006년 6월12일
-경기일보: 김형표 기자, P17. 2006년 7월 20일
-경기신문: 김진수 기자, P17. 2006년 7월 20일
-과천시대: 강명희 편집장, 2006년 9월 4일
-경기일보: 김형표 기자, P20. 2006년 11월 6일
-경기일보: 이형복 기자, P15. 2007년 6월 25일
-김포신문: 곽정규 기자, 2007년 6월 27일
-김포신문: 곽정규 기자, 2007년 7월 14일
-경기일보: 허행윤 기자, P15, 2008년 2월 14일
-코리아 타임즈: 2008년 8월21일
-연합신문: 경수현 기자, 2008년 9월 21일
-문화일보: 2008년 9월 24일
-동아일보: 고미석 기자, 2008년 10월 14일
-매일경제: 2008년 10월 14일
-한겨레: 임종업 선임기자, 2008년 12월 16일
-재경일보: 동경화 기자, 2010년 4월 22일
-아트뉴스: 박진영 기자, 2010년 4월 22일
-스포츠 조선: 이인경 기자, 2010년 4월 23일
-재경일보: 동경화기자, 2010년 4월 27일
-스포츠 칸: 박준범 기자, 2010년 8월 6일
-미주 중앙일보 L.A: 유이나 기자, 2010년 9월 7일
-연합 신문: 2010년 9월 15일
-서울경제: 2010년 9월 15일
-국민일보: 이광형 기자, 2010년 10월 3일
-아시아 투데이: 전혜원 기자, 2010년 10월 8일
-연합뉴스: 2010년 12월 30일
-세계일보: 조정진 기자. 2011년 1월 3일
-독서신문: 장윤원 기자. 2011년 1월 3일
-내일신문: 김성배 기자. 2011년 1월 4일
-뉴시스: 이재훈 기자. 2011년 1월 4일
-문화저널 21: 2011년 1월 4일
-서울신문: 2011년 1월 7일
-리버하씨옹: 프랑스, 도미니크 뽀와레 기자. 2014년 6월 10일
잡지 기사
-미술세계: 작가의 창, 1990년 8월호
-아남 그룹: 1995년 2월 16일
-매일 경제 신문, 시티 라이프: 김윤정 기자, 1995년 7월 13일
-소비자 시대, 소비자보호원 출판: 1996년 2월호
-Kfem: 국지연 기자, 1996년 3월호
-그린 스카우트: 박봉균 기자, 1996년 3월 호
-경향신문, 레이디 경향: 김선주 기자, 1996년 4월 호
-월간미술 21: 정종현 주간, 1997년 2월호
-풀무원, 자연을 담는 큰 그릇: P16-17, 1998년 1월호
-미술시대: 정지혜 기자, 2008년 9월호
-미대입시: 2008년 9월호
-미술과 비평: 배선혜기자, 2009년 7월호
-Ace Art: 영문 매거진, 2010년 11월호
-주 프랑스 한국 문화원, 2010년 6월호
-주간 한국: 송준호 기자 2011년 1월
-Where San Diego Mazine 표지기사: U.S.A 2011, 가을호
-서울 아트 가이드, 2014년 3월
-메종: 2014년, 1월호
-공간: 김윤수 기자, 2014년 3월 31일
경기일보 문화카페 칼럼
-환경도시의 현대 예술과 과학의 접목: 2006년 3월 3일, P18
-예술과학의 힘은 무엇인가: 2006년 3월 19일, P18
-유비쿼터스 시대의 예술행정: 2006년 3월 25일, P15
-마음을 여는 정신문화: 2006년 9월 1일, P19
-예술문화의 블루 오션: 2006년 9월 29일, P19
-왜 예술의 도시 파리인가? : 2006년 11월 3일, P19
-문화지수 행복지수: 2006년 12월 1일, P19
-현대 안티고네의 비극: 2006년 12월 29일, P19
-파리지엥의 역동적인 문화공간: 2007년 1월 28일, P19
-창의력 발전소 파리 퐁피두센터: 2007년 2월 23일, P19
-문화홍보의 화룡점정, 언론: 2007년 3월 23일, P19
-프랑스 미술교육의 저력 보자르: 2007년 4월 20일, P19
-미디어는 오감의 메시지: 2007년 5월 18일, P19
-생활이 예술이 된다는 것: 2007년 6월 15일, P19
-이유 있는 예술 노마드: 2007년 7월 13일, P19
-파리의 하늘밑, 그들이 사는 법: 2007년 8월 10일, P19
|